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데이터베이스(DBMS)
    개발/정보처리기능사 실기 2023. 3. 20. 15:45
    728x90

    ● DBMS의 정의


  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 주고,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.

     

    DBMS의 필수 기능 : 정의, 조작, 제어

    • 정의기능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과 구조에 대한 정의, 이용방식,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
    • 조작기능 : 데이터 검색, 갱신, 삽입, 삭제 등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
    • 제어기능 :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갱신, 삽입, 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도록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제어하는 기능.

     

     

    ● DBMS의 종류


    구조에 따라 망형,계층형,관계형 DBMS등이 있다.

     

    • 계층형 DBMS : 트리구조를 이용해서 데이터의 상호관계를 계층적으로 정의한 DBM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개체 타입 간에는 부모와 자식 관계가 존재하며 일 대 다 대응 관계만 존재한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종류 : IMS,System2000등
    • 망형 DBMS : 그래프를 이용해서 데이터 논리 구조를 표현한 DBMS, 상위와 하위 레코드 사이에서 1:1,1:N,다대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대응 관계를 모두지원한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종류 : IDS,TOTAL, IDMS 등
    • 관계형 DBMS : 가장 널리 사용되는 DBMS,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DBMS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파일 구조처럼 구성한 2차원적인 표를 하나의 DB로 묶어서 테이블내에 있는 속성들 간의 관계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설정하거나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이용한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종류 : Oracle, SQL Server, MySQL 등.
    • 비관계형 DBMS : NOSQL DBMS

     

     

    ● DBMS의 장/단점


    장점 단점
    ● 데이터의 논리적,물리적 독립성이 보장된다.
    ●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 있어 기억공간이 절약된다.
    ●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.
    ● 데이터의 일관성,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.
    ●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.
    ● 데이터를 표준화할 수 있다.
    ●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.
    ●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한다.
    ●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.
     
    ● 데이터베이스의 전문가가 부족하다.
    ● 전산화 비용이 증가한다.
    ● 대용량 디스크로의 집중적인 Access로 과부하가 발생한다.
    ● 파일의 예비와 회복이 어렵다.(Backup & Recovery)
    ● 시스템이 복잡하다.

     

     

    출처: 시나공

    728x90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